Understanding Horses' Feet의 저자 닥터 죤 스튜워트Dr.John Stewart와의 질문과 답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질문: 수의사의 일에서 무엇 때문에 말의 발과 제엽염으로 옮기게 되었나요?
대답: 여러가지 환경 때문이었죠. 제엽염에 관심이 있어왔는데 닥터 스트라서Dr. Strasser 가 강연한 주말코스를 참가 하고나서였습니다. 그녀는 내가 공부했던 "전통적인" 의견보다 다른 의견을 이야기 했는데 난 닥터 스트라서가 말한 것에 대해 몰라 아무런 의견을 갖고 있지 않아 내가 정말 이것에 대해 모르는구나 하고 깨달았습니다. 이렇게 말의 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제 아버지가 저와 함께 사시기 위해 오신 일과도 겹치는데 아버지가 건강이 약화지시면서 집에서 아버지를 돌보고 수의사로서의 일을 적게 하면서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90세)에는 일이 1/3로 줄었습니다. 집에서 시간을 더 보내게 되면서 제엽염에 관한 정보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다른 요인도 있었지만 15년간 (그리고 그전의 50% 역시) 수의사로 일하면서 85%는 전화로 불려가는 일이라 그것에 흥미가 없어 수의사클리닉을 팔아버렸습니다. 스코트랜드로 이사를 했고 말의 발에 관심을 쫓아 연구와 발굽삭제를 하면서 마주들을 위한 책을 썼습니다. (2013.9월 출간)
(책이 좋아 나도 주문했음. 아마존닷컴에서 미리 보니 내용 아주 좋음)강추.
질문: 말의 발굽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변해오셨나요?
대답: 11년간 말의 발에 대해 연구를 하고 영국,유럽과 미국의 장제사나 수의사컨퍼런스에 참석하며 만난 수백명의 장제사나 수의사들과 이야기 하면서 말의 발굽에 대한 나의 생각이 변하게 되었습니다. 닥터 스트라서의 강연을 듣기 전까지 처음 수의학과 공부할 때는 장제를 기본으로 한 "전통적인" 노선으로 배웠고 그렇게 일을 했습니다. 그러다 전통적인 생각에 의구심이 들었는데 어떤 것들을 하도 반복이 되는 것들이라 사실처럼 받아들여지는데 내 연구에 의하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이러한 "사실"에 근거한 연구들의 결과에 의문을 갖게 했습니다. 장제사들의 연구논문들이나 기고한 글들을 읽으면서 장제사들은 발의 모양form을 고려하는 것 같았는데 편자를 빼자는 barefoot 운동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발의 모양과 기능을 더 고려합니다. 닥터 스트라서의 이론을 다 수용하는 것이 아니지만 편자를 빼자는 입장에도 개별적 차이를 두듯이 내가 발굽 삭제를 시작할 때쯤엔 그녀의 어떤 생각은 받아들이고 어떤 것은 버릴지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질문: 건강한 말의 발굽을 삭제하는데 쓰시는 방법을 간단히 이야기 해주시겠어요?
대답: 내 삭제방법은 다 다르긴 하지만 어느정도는 발굽의 강도에 따라, 말이 살고 일하는 환경 그리고 말이 하는 운동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건 지난 9개월간 달라졌어야 하는데 일년중 많은 날들이 "젖어 있는" 영국에서 발굽과 땅이 아주 단단한 아주 건조한 남캘리포니아로 이주를 했기 때문입니다.
* 발바닥은 느슨한 것을 제거하는 것 외엔 그냥 두는 편입니다.
* 제차frog은 염증이 생길 수 있는 늘어진 부분을 잘라내지만 발굽벽에 비해 체중을 너무 싣게 되지 않으면 자르지 않습니다.
* 바bar는 대개의 사람들보다 많이 삭제를 하는데 이런 경우는 바가 굽어졌을 경우나(티눈seat of corn의 압력을 풀어주기 위해, 그리고 바로 세우기 위해) 너무 길고 곧게 서있을 때 발뒷굼치 정상기능을 제한시킬 때 입니다.
* 발굽벽은 발바닥 바로 위까지만 삭제를 하는데 백선 바깥의 색소가 없는 발굽벽까지만 둥글려 줍니다. 발바닥이 두껍고 표면이 떨어지려고 하면 발굽벽 바깥을 살짝 높게(1cm이하)갈아주어 - 이 방법은 쉽게 닳게 하는데 -발바닥이 벗겨지면 평면이 같아지게 됩니다. 쿼터 릴리프quarter relief는 습한 환경에는 적절하지 않지만 매우 건조한 곳에서는 훨씬 더 많이 필요합니다.
*삭제를 하기전 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보기 위해 삭제 전과 후 난 항상 가능하면 말이 걷는 것을 관찰합니다.
질문: 말에게 제엽염이 생기면 어떻게 괸리할 것을 권하십니까?
1. 말을 마방에 두고
2. 편자를 했으면 일단은 편자를 그대로 둡니다 - 증상이 심할 때는 편자를 빼는 것이 제엽을 분리시켜 다른 발에 체둥을 더 싣게 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발바닥을 지탱해줍니다 - 발바닥에 편안한 재질을 두고 발뒤꿈치 표면에도 편한 것으로 지지를 해주어 (편자를 했으면 더욱 더) 커핀본coffin boneP3를 지지해주어야 합니다.
4.발굽의 기계적 힘을 줄여줍니다.
5.가능하면 발굽을 삭제해 줄여주어 발의 뒷쪽에 무게를 더 싣게 해서 P3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줍니다. (어떤 사람들은 deep flexor tendon의 가해지는 힘을 줄이기 위해 발꿈치에 무엇을 대 발을 들어주어야 한다는데 내생각에는 말의 체중에 의한 힘은 훨씬 크고 건에 의한 힘은 말이 움직이면서 강해지므로 -증상이 심할때는 그렇게 하지 못하도록 해야죠- 나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
6.발굽벽을 고정시킵니다.
이 방법은 EVA에 캐스트를 해서 지지를 해주었을 때가 제일 좋습니다.
The method that would appear to cover these recommendations best is to cast on an EVA support (See Equicast). The EVA pad is conformable, to give sole support, and has a narrower base, to ease break-over around the foot and the Equicast holds the EVA in place and provides stability to the hoof wall.
* If it is an acute laminitic episode in a horse with chronic laminitis, sole support has the potential of putting pressure on the sole under the tip of P3, to cause pressure necrosis. In these cases, support under the back half of the foot is safer. An EVA pad may not be suitable in these cases.
질문: 제엽염을 관리할 때 사람들이 흔히 하는 실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제엽염을 가볍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2.뷰트bute(진통제, 소염, 해열진통제)를 과다하게 쓴다는 것입니다. 통증이 줄어 말이 움직여서는 안되는데 자꾸 움직이게 되어 더 심해진다는 것입니다.
3.인슐린저항을 처리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것은 바로 제엽염의 주된 요인일겁니다. 이것은 주로 말의 먹이에 비구조성 탄수화물을 제어하는 것입니다.(설탕과 전분)
질문: 더 하실 말씀은?
답: 제엽염 예방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엽염은 운동을 정규적으로 하고 정규적인 삭제를 하는 말들이나 포니에게서는 아주 드뭅니다. 말의 운동량에 따라 먹이고 절대 살이 과다하게 찌게 해서는 안됩니다. 내 책 Understanding the Horses' Hoof는 마주들을 위해 쓰여졌는데 일반적인 그런 책보다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http://thenaturallyhealthyhorse.com/qa-dr-john-stewart-author-understanding-horses-feet/
'FYI·정보 > For riders·승마인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관리 (0) | 2014.08.14 |
---|---|
말과 함께 하는 자폐여정 (0) | 2014.08.13 |
때리지 말라니까! (0) | 2014.08.12 |
서러브렛과 신뢰 (0) | 2014.08.12 |
horse inisde out (0) | 2014.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