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관계bonding 읽어보니 내용이 완전하지 않지만 흥미있는 글이라 그대로 번역하여 소개. 새끼 캥커루가 어미를 자세히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왜 엄마들이 갓난아기들을 왼쪽에 안는 경향이 있는지 그 신비를 풀었다고 한다. 아 자세는 뇌의 오른쪽 반구를 활성화 시키는데 이것은 소통과 긴밀한 유대..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7.02.09
어느 장제사의 이야기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게 뭔지 아세요? 편자 작업하는 거에요!! 편자를 뽑고, 발굽을 다듬고 못을 박는 거죠! 각도를 바꾸고, 제차를 다듬고 발굽을 깔끔하게 줄칼로 다듬는 거요! 다리 저는 말을 낫게 해주어 제대로 걸어가는 걸 보는 거요. 쇠를 두드려 한번에 편자로 만들어 딱 맞게 해주는..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6.12.11
존 홀크로프트 아티스트 존홀크로프트는John Holcroft,1950년대 광고스타일 그림으로 모던사회를 풍자적인 멧시지로 전했던 사람이었는데 그가 정신나간 미디어 습관으로부터 우리의 모호한 이상적인 사회라는 개념까지 우리의 관심을 끄는 사회의 이슈가 담긴 다른 시리즈의 이미지를 내었다. BBC, 리더스 ..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5.04.10
마장마술과 스쿨마스터 마장마술은 어떤 종류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 같다. 물론 이것은 일반화 하는 거지만 여기서는 내 욧점을 말하기 위해 무시하기로 한다. 마장마술 하는 많은 사람들은 컨트롤을 하려는 사람들인 경향이 있는데 - 완벽주의자, 굉장히 열심히 하는 사람, 시시콜콜한 것도 기..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5.03.11
망아지와 자폐 갓 태어난 망아지가 자폐에 대한 실마리를 줄 수 있을까 Credit: Joe Proudman, UC Davis UC Davis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professor and researcher Dr. John Madigan inspects a maladjusted foal at Victory Rose Thoroughbreds in Vacaville, California, on Jan. 21, 2015. UC데이비스 대학 수의학과 교수 닥터 죤 메디건이 캘리포니아 배커빌..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5.02.11
98세 할머니의 편지 98세 할머니가 은행에 쓴 편지 By Ben Popken January 10, 2011 상당히 기발하지만 실제로 일어난 일은 아니다. 스노우프Snopes reports는 1999년 피터 위어 Peter Weer 가 호주 Courier Mail 에 기고한 칼럼에서 인용이 된 것인데 인터넷으로 빨리 확산이 되어 마치 실제로 할머니가 편지를 써 타임스“in the Tim..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5.01.07
말이 좋은 이유 하나 ....애쉴리는 내가 암말 페니를 세션에 쓰기 위해 데려오는 동안 부슬거리며 내리는 빗속에서 조용히 서 있었다. "자, 그럼 말에 대한 경험을 말해봐요" 애실리에게 웃으며 리드밧줄을 건넸다. 그녀는 우리가 처음 만난지 10분만에 자기에게 말을 맡기는 것에 놀라는 듯 보였다. "다른 랜취..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3.04.28
질카와 티니아라는 암말 .......내 친구중 하나는 항상 자기에게 상처를 주는 남자와 사랑에 빠지는데 가끔은 그 남자들은 그녀를 때리기도 한다. 그녀 생각에는 이 남자들은 특히 예민하기 때문에 이해를 많이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녀는 왜 남자들이 갑자기 공격적으로 반응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 공격..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3.04.18
말과 진정성(authenticity) 말을 탄 다는 것은 특별한 즐거움이다. 특히 여자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말과 접촉할 기회가 지금처럼 자유로이 주어지지 않았다. 여자들뿐만 아니라 소수의 사람들 외엔 말을 탈 수도 없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모든 사람들이 말을 만날 수 있다. 이 커다랗고 멋진 살아 숨쉬는 동물의 ..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3.04.17
말에게 가장 심한 징벌 미국에서 몬티 로버츠가 호스 위스퍼러로 알려졌다면 영국에서는 그와는 약간 다르지만 헨리 블레이크가 호스 위스퍼러일 것이다. 드라마틱한 반전이 없이 평생 꾸준히 말을 훈련하며 타며 말의 심리를 꾸준히 연구하여 적용하며 말의 심리에 관한 것을 정리해 책으로 냈는데 몬티가 쇼.. LEARN·배우기/좋은 글들·scraps 201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