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맨십에서 존중이란?
몬티로버츠
The following are words or ideas that seem to stand out in your book. Could you tell us what the word "Respect" means to you in terms of your techniques with respect to both horses and to other individuals?
다음은 당신의 책에서 부각되는 듯한 단어나 생각들입니다. 당신에게 존중respect란 것이 말이나 다른 개인에 관해 기술적인 면에서 어떤 것을 의미합니까?
It is a strong opinion of mine that traditional horsemanship was void of any respect for the rights, fears or desires of the horses involved. A favorite expression of traditional trainers is “the horse needs to know who’s boss”. This statement qualifies the trainer to use force and pain to be sure the horse knows who is boss. There is never a mention of reward or praise where traditional horsemanship is concerned.
기존의 전통적인 말을 다루는 법에서는 함께 일하는 말의 권리나 말이 두려워하거나 하고자 하는 것이 빠졌다고 하는 것이 저의 강한 의견입니다. 기존의 말 트레이너들이 좋아하는 표현으로 "말은 누가 대장인지 알아야 한다" 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트레이너가 완력과 고통을 써서 말이 누가 대장인지 알도록 하는 자격을 줍니다. 전통적인 호스맨십에서는 여기에 보상이나 칭찬 이라는 것은 절대 없지요.
It is my belief that it is our human responsibility to learn what the horse sees as praise and respect. For these reasons the word “breaking” is quite appropriate in traditional training. When we lived in the caves we broke our wives and our children because we could. I suppose the uncivilized male human did what he felt was necessary to control his environment.
말이 무엇을 칭찬이나 존중으로 보는지 배우는 것이 우리 인간의 책임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브레이킹breaking/말의 기를 죽인다"라는 것은 전통적 훈련에서 적절했습니다. 우리가 동굴에서 살 때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우리 아내들이나 아이들을 기를 죽였습니다. 저는 이것이 미개한 남자 인간이 자신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그리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t has taken 6000 years to begin to realize that the flight animal will attempt to please us when we get our message correct without violence.
6000년이 걸려서야 도망하는 동물들은 폭력없이 우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려주면 우리를 기쁘게 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알기 시작한 것입니다.
'Horse & People·말과 사람 > Thoughts·승마인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의 나이 환산 (0) | 2021.12.12 |
---|---|
말 아니면 너? (0) | 2021.12.02 |
우리가 하는 말들 (0) | 2021.08.23 |
A Tribute to Vulcao (0) | 2021.08.22 |
어허 참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