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위에 올라타려고 할때 기승자가 다 앉기도 전에 기다리지 않고 움직이는 말들이 있다.
균형을 잃으면 떨어지기 쉽다, 김도 새고.ㅎㅎ
마운팅 블록 옆으로 데려와 세운다.
그리고 가만히 네 다리로 균형 잡아 서도록 하고 "Stand!"/"서 있어!"라고 하고
천천히 마운팅 블록에 올라선다.
말이 움직이지 않고 서있으면 칭찬해주고 움직이면 다시 서도록 반복한다.
이것을 반복훈련을 하고 - 조급해 하지 말고 - 마운팅 블록에 올라서도 가만히 있게되면
다음엔 다른 한 사람이 말 옆에서서 기승자가 오를때까지 움직이지 않도록 지켜서서 보도록 한다.
말을 잡지 않고 말이 제자리에 있도록 격려해준다.
가만히 서있게 될때까지 반복연습한다.
하루에 다 되지 않더라도 느긋하게 날마다 조금씩 반복한다.
기승자가 앉아서도 움직이지 않으면 옆에 서있는 사람은 조금 말에게서 떨어져 서있고
기승자는 앉아서 복대를 조인다든지 말에게 칭찬의 의미로서 과자를 준다든지 할 수 있다.
말이 기승자가 오를때 움직이는 이유는
서도록 배우지 않았다거나,
기승자가 오르면서 발끝으로 말의 옆구리를 모르게 찌른다든가,
가만히 앉지 않고 쿵하고 앉아 허리가 아프게 한다든가,
안장이 맞지 않아 아픔을 느끼는 경우일 것이다.
마운팅 블록을 써서 오르면
말 허리에도, 기승자 허리와 무릎에도, 또 안장에도 무리가 가지않아 좋다.
마운팅 블록이 등자 높이라면 그야말로 가뿐히 앉을수 있다.
말이 기승시 움직인다고 벌주지 마시길.
말은 벌로는 배울 수 없다.
화가 난다고 어느 경우에도 고삐를 당겨 말의 재갈로 아프게 해서는 안된다.
말이 아프느라 배울 정신이 하나도 없게 될 뿐이다...--;;
말에게 화를 내기전에 ;
말이 시키는대로 할 수 있는 건강한 상태이거나 시키는 일이 신체적으로 가능한 일인가?
말이 내가 무얼 시키는지 알고 어떻게 반응해야 되는건지 아는가?
바른 부조를 주었나?
적절한 때에 지시를 해서 말이 시키는대로 할수 있었는 상태였나?
말이 지시에 따라 반응하는데 내가 방해가 되지않았나?
충분한 시간을 주었나?
등등...이러한 것들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어느 하나라도 말의 잘못이 아니었다면,
아니, 말의 잘못했다 하더라도 다시 정확하고 명료한 부조를 주며 시도를 다시해서
좋은 파트너 관계로서 운동을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참고: The horse behavior problem solver
'FYI·정보 > For safety·안전.안전.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 주변 안전 (0) | 2009.03.05 |
---|---|
앗 위험 (0) | 2009.02.25 |
앞발 들고 서는 말.....2 (0) | 2008.01.28 |
안승! 즐승!! (0) | 2008.01.27 |
앞발 들고 서는 말....1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