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반란
유전자 변형 식품의 역습
저희 농장(김유림약초농장)으로 가는
길목에 벌써 수확하여야 할 옥수수 밭이
무성하길래 자세히 살펴 보았습니다.
봄에 씨앗을 뿌렸을 때 옥수수 씨앗은 약간 붉은
색을 띠고 있었지요.
파종기로 씨앗을 파종하던 운전자가
말하길 "이렇게 파종한 후 옥수수에는
아무 해가 없는 제초제를
세번 정도만 하면 풀을 맬 필요도 없이
수확기까지 그냥 놔둬도 문제 없다"고
하면서 생산하기가 아주 수월하다고
하였었습니다.
이게 바로 제초제 내성을 지닌
유전자 조작 식품인 것 같아 옥수수의
껍질을 벗겨 보았습니다.
그리고 며칠 후 보았더니 역시 어떤 동물의
피해도 없기에 다른 옥수수 하나를 더 벗겨
놓았습니다.
열흘 후에 가 보았어도 건조는 되었어도
새나 동물이 파 먹은 어떤 흔적도 없었습니다.
물론 썪지도 않았구요.
옥수수 열매가 너무 높은 곳에 있어서
그런가 하고 아래쪽을 보았습니다.
너무도 멀쩡합니다.
참으로 강한 옥수수입니다.
보통 옥수수는 다 익고 나면
위와 같이 썪기도 하고
작은 곤충들이 파 먹기도 하여야 합니다.
위 사진은 저희 농장에서 기른 옥수수인데
한쪽이 썪기도 하고 벌레들이 많이도
파 먹었습니다.
다른 보통 작물들은 수확기가 되면
곤충과 조류의 피해를 방지하려고
이렇게 망을 씌워야 합니다.
그래야 조류 피해도 방지하고
빨리 익어서 떨어지는 곡식도 유실되지 않지요
벌레 한마리 들어가지 않도록
단단히 동여 매었지요.
그러나 상단의 유전자 조작 옥수수는
벌레나 조류가 먹지 않기 때문에
밭에 그대로 두었다가
이렇게 우주인이 낳아 놓은 알처럼
새하얀 캡슐속에 포장됩니다.
밭의 밑둥에 잘려진 옥수수의 그루터기가
보이실 것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 유전자 조작 식품은
소비자에게 팔리지 않고 소비자들이 드시는
육류를 기르는 사료로 쓰입니다.
그러나 만에 하나 이 유전자 조작 식품에
문제라도 있다면 이것을 먹고 자라는 가축을
먹는 우리들도 문제가 되겠지요ㅜㅜ
해충이나 곤충이 먹으면 죽도록 독성을 만들도록
조작된 유전자 조작 옥수수인 킹콘은 사료용, 가공용,
연료용으로 소, 돼지, 닭, 생선의 사료로 섭취되고
우유, 달걀을 생산하게 하고 이들을 이용한 가공식품이나
의약품등으로 우리 몸에 들어옵니다.
소들에게 싸고 칼로리가 높은 이 옥수수를 먹이면
소들에게 위산과다의 원인을 만들고 체내의 ph지수를
산성으로 기울여 소들이 산독증에 걸리기도 하지만
소를 비만이 되게 하고 소들의 근육조직을 마치
지방처럼 변하게 하여(마블링 증가) 소의 등급을 높입답니다.
2011년 캐나다 셔브룩 대학 병원의 조사에 따르면
임산부의 93%, 태아의 80%에서 킹콘의 유독성분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ㅜㅜ
1. 유전자 조작 식품(GMO)이란?
어떤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 즉 추위, 병충해, 제초제 등에 강한 성질만은 택한 뒤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작물을 만들어 낸 작물, 예를 들어 개구리와 콩, 뱀+원숭이+옥수수, 냉해에 강하라고 넙치+토마토하여 새 종을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의 콩 자급율은 13%, 옥수수, 밀 자급율은 1%미만입니다.
유전자는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기본 설계도로 세포내의 염색체에는 생명체 고유의 유전자를 갖고 있고 이 유전자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생리물질들을 만들어 내도록 암호화 되어있습니다.
유전자 조작은 우수한 형질의 종을 확보하려는 전통적인 육종교배방식이 아닌 한 생물의 유전자를 다른 종 또는 속의 생명체에 삽입해서 원하는 유전 형질을 획득하려는 방법입니다.
2. 유전자 조작 식품의 종류
1) 제초제 내성 유전자 조작 식품
녹색을 띠는 모든 식물을 죽이는 고독성 제초제를 뿌려도 이 작물은 죽지않고 잡초만 죽게하는 작물로
콩과 유채가 대표적인데 강한 고독성의 제초제를 맞으며 재배되므로 잔류농약이 많다.
2) 살충 독소 유전자 조작 식품
해충을 죽이는 독소를 작물 스스로 만들게끔 유전자 조작된 작물로서 옥수수, 면화가 대표적이다.
미생물과 곤충, 나비 새등은 본능인지 후각때문인지 이 작물을 절대 먹지 않는다.
미국에서 만든 유전자 조작 면화인 볼가드를 인도에서 재배하였는데 이 잎을 먹은 양들이 만마리나 떼
죽음을 당했었다. 사인은 양들의 소화과정 중 질산대사과정의 붕괴로 인한 질소 중독이었다.
<당신에게 드리는 김수현의 식생활백서>
3. 왜 유전자 조작 식품은 안돼는가?
우리 몸은 낯선 성분이나 독소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면역반응을 하는데 이로 인해 간과 면역체계의 교
란으로 원인모를 아토피로 고생하게 됩니다.
1) 유전적으로 수정된 단백질이 알레르기의 원인이 된다.
2) 제초제에도 내성이 있는 식품의 성분이 우리 몸속에서 독소가 된다.
3) 유전자 수정을 위해 유전자총인 에어건으로 침투시키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유전자 조작 식물의
세포벽을 통과한후 자생적으로 위치를 조정하며 암세포의 생성을 촉진한다.
4) 유전자 조작에 사용되는 선택용 표식(마커) 유전자가 우리가 복용하는 항생제의 효과를 감소시키거
나 항생제 내성을 갖게 만든다.
5) 제초제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의 내성 증가로 작물에 남아있는 잔류 제초제양이 늘어난다.
6) 유전자 조작된 DNA는 대장에서 파괴되지 않고 혈액속에 흡수되어 각종장기에 스며든다.
출처:http://alternativa11.blogspot.com.es/2013/05/los-alimentos-transgenicos-12-razones_1.html
4. 유전자 조작 식품의 동물실험의 예
1) 1998년 영국의 로이트 연구소의 푸스타이 박사는 유전자 조작 감자를 110일 동안 쥐들에게 먹인
실험에서 쥐들의 간, 신장, 쓸개 심장등 장기 대부분이 손상되고 면역기능이 저하됐으며 뇌의 크
기가 줄어들은 것을 발견했고
2) 2006년 유럽 13개국의 22명의 과학자들의 실험에 의해 위 푸스타이 박사의 실험이 맞다는 것을
다시 증명했다.
3) 2012년 9월 19일 영국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프랑스 칸 대학 연구팀이 2년 동안의 쥐 실험을 통
해 유전자 조작 식품을 먹인 암컷쥐들에게서 7개월부터 눈에 띄는 종양을 발견했으며 2년내
에 전체 쥐들의 50~80%에서 커다란 종양을 발견했으며 사망율은 일반사료를 먹인 쥐들보다
3배 이상이나 높았다고 하였다.
4) 노르웨이 과학자들은 10년 넘는 기간의 실험섭식연구로 유전자 조작 옥수수를 먹은 쥐들이 더 빨
리 살이 찌고 체중이 늘었다는 것은 발견했다. 돼지, 연어의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한다.
곤충과 새들도 먹지 않는 이 유전자 조작 식품으로는 콩 옥수수, 감자등이 있고 국내법의 유전자조작 농
산물 표시 대상 품목은 콩, 콩나물, 옥수수, 감자인데 이들을 원료료 가공되는 다음식품들은 외국과는
달리 유전자 조작 여부를 표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5. 유전자 조작 작물을 원료로 만드는 가공식품들
1) 콩 : 간장, 된장, 고추장, 쌈장, 두부, 유부, 콩나물, 식용유, 콩기름, 마가린, 쇼트닝, 콩통조림, 두유,
대두버터, 마요네즈, 마카로니, 콩가루함유과자 등등
2) 옥수수 : 옥수수통조림, 콘스낵, 옥수수유, 시리얼, 물엿, 옥수수전분, 옥수수빵류, 당면 등등
3) 토마토 : 케첩, 토마토주스, 소스
4) 유채 : 카놀라유, 샐러드드레싱, 마가린
5) 감자 : 감자스낵, 감자튀김, 감자전분
6) 식용면실유 : 땅콩버터, 스낵류, 이유식(콩, 옥수수)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이런 가공식품의 경우 다만 원산지만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웃님들 이렇게 여러 실험에서 동물들에게
해가 된다고 발표를 한다면 당연히 사람들에게도
해가 되지 않을까요?
쥐의 수명이 3~6년임을 감안하면
쥐실험에서의 7개월은 사람에게의 7년이고
쥐에게서의 2년은 사람에게는 20년 내지
30년 동안의 효과일 것입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GMO)이 수입개방된지
불과 6년이라 사람들에게서 이 음식의 섭취 효과가
나오려면 한참 걸리겠지만 이것이 한번 우리몸에
스며들면 이것이 유전형질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더 두려워지네요ㅜㅜ
유전자 조작 식품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가
미국과 우리나라랍니다.
혹시 미국에 비만인구가 많은것이 이 유전자
조작 식품때문아닐까요???
'Horse & People·말과 사람 > Living harmony·새로운 함께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0) | 2014.12.01 |
---|---|
상상해봐요Imagine (0) | 2014.11.30 |
종교와 영성 (0) | 2014.10.20 |
어떤 글 (0) | 2014.10.20 |
노 푸No-poo (0) | 201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