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삼베 재배
우리나라에서 수요가 많아 한 해에 한 회사가 2400억원 넘게 수입을 한다는데
쌀농사만 지을 게 아니라 삼베 재배가 대체 산업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우리나라 대마는 THC성분이 0.03으로 무지 낮다고 하며
기름을 짜서 약용, 미용으로 쓸 수 있고, 옷, 밧줄, 말 베딩, 벽지, 허브, 의약품등
외국에서는 개발에 힘쓰고 있다는데 자세한 연구 없이 이제껏 해왔던대로 금지만 할 것이 아니라
제대로 연구하고 관리하여 새로운 산업으로 키워 이로운 일에 쓰면 좋을 것 같다.
여기에 관한 좋은 글이 있어 퍼왔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zzzangpa1&logNo=40166189909
번역하여 자막을 달자니 적절한 우리말 찾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윗 링크의 네이버글을 보면 우리나라 상황을 알기에 충분할 것 같아 생략.
영어를 이해하시는 분들은 도움이 되실 것 같다.
이 뉴스의 요지는 마약성분의 문제보다도 재배금지로 대기업들의 이익이 보호되어
실제로 경제에 좋은 산업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굳이 간단히 쓰자면, 이 대마/삼베는 12,000년 이상 인류가 산업으로 재배해 온 식물인데,
플라스틱보다 강해서 플라스틱 대용이나, 건축재료,기름을 대체 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헨리포드가 1941년 대마로 자동차 전체를 만들었는데 이것으로 만든 틀은 철보다
(동영상중 사진이 있음)
12배나 가볍고 10배나 강하며 가장 단단한 fiber...이게 우리나라말로 뭐냐...찾아보고...
...다음단어 클릭...섬유질...섬유질중에 가장 강하다고 하며 이 식물에서 추출한 연료를 썼다.
http://www.cosmicreality.net/hemp-the-key-to-restoring-the-republic.html
이것은 마리화나가 아닌 삼베식물hemp 이며 이에 관해 미국 의회 연구보고는,
"인도대마cannabis의 다양한 종류이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산업 삼베식물과 유전적으로 다르고
사용과 화학적 성분으로서 그 차이가 더욱 구분이 되어진다"라고 기록했다.
(Although marijuana is also variety of cannabis, it is genetically distinct from
industrial hemp and further distinguished by its use and chemical makeup.)
실제로 애비마틴에 따르면 쓰레기 한 봉지만큼의 양의 삼베잎을 피워도 기분이 전혀 좋아지지 않는다고 한다.
나는 마리화나나 대마에 대해 전혀 아는 바나 관심이 전무하여 알 수가 없는 노릇이지만
(윗 링크의 네이버 글에서 쓴 것처럼, 담배는 한 모금만 피워도 머리가 핑돌지 않나???)
미국 저널리스트 애비 마틴Abby Martin에 의하면 삼베작물은
사람에게 위해해서가 아니라 관련산업 기업에 위해하기 때문에 금지되어 온 상태로 이어져 온 것이라는데
미국에서 1920년대 금지가 되어온 것을 여전히 세밀한 연구 없이 관습대로 금지만 한다면
그것은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환경적, 경제적으로 상당히 손해나고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윌리엄 허스트 William R Hearst
미국에서는 미국 정착이 시작되던 1600년경이후 가장 중요한 환금작물 산업으로 재배되어 왔다가
면과 제지 산업에 경쟁이 되자 미국의 거대 출판사 사장인 뉴욕주 의회원 윌리엄 허스트는
(http://en.wikipedia.org/wiki/William_Randolph_Hearst)
성공적인 종이경쟁회사를 상대로 삼베식물을 마라화나와 연관시키고 과장선전하는 캠페인을 벌여
나쁜 인식과 함께 법으로 재배를 금지시켜 이제까지 다른 산업의 경쟁자들만 배불려 왔다는 것이다.
(여기서 옐로우 저널리즘이란 말이 유래되었다)
대마/hemp는 나라의 보호와 부의 첫번째 필수품이다..토마스 제퍼슨
실제로 죤 애덤스, 토마스 제퍼슨, 조지 워싱턴등 모두 자신의 농장에서 삼베식물을 재배했으며
토마스 제퍼슨은 이것이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라고까지 이야기 했었고
독립선언문도 삼베로 만든 종이에 씌였다고 한다.
http://zip420.blogspot.hk/2013/07/hemp.html
환경을 파괴하는 다른 산업에 비해 이 친환경적인 식물의 씨로는
기름을 짜서 스킨케어 제품으로 쓰일 수 있고, 의약품, 몸체는 자동차나 배, 기차,
집을 지을 수 있는 재료로 쓰일 수 있고 잘 헤어지지 않는 옷을 만들 수 있어
제철, 연료, 목재, 주류(헴프맥주도 만듬), 음식등을 대체할 커다란 산업을 이끌어 낼 수 있는데
가공품은 강해서 아주 강해서 쓰일 곳이 아주 무제한 다양하게 많다.
(배경사진에는 헴프로 만든 말베딩 제품이 보인다)
삼베는 인류가 오랫동안 연료, 옷, 집, 음식으로까지 세계적으로 재배하여 왔었고
이제 미국 켄터키에서는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으니
이를 계기로 삼베작물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와 긍정적인 산업격려로 이어져 우리나라에서도
쌀농사가 아닌 다른 대체작물로 농민의 삶과 희망을 일으킬 산업으로 이끌 수 있지 않을까
...궁금하여....생각해본다.
'Horse & People·말과 사람 > Living harmony·새로운 함께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반을 벗어준 청년 (0) | 2015.05.25 |
---|---|
작은집 살기tiny house (0) | 2015.02.17 |
우분투Ubuntu (0) | 2015.02.04 |
고기공장 (0) | 2015.01.27 |
je suis charlie (0) | 201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