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 흔한 파행의 원인 다섯가지
파행은 말에게 가장 흔한 일이다. 여러가지로 파행이 올 수 있으나 어떤 것은 더 자주 일어난다.
발에 체중을 싣지 않으려고 하는 것부터 아주 살짝 퍼포먼스를 잘 못 하는 정도의 불편해 하는 것까지다. 수의사는 말이 움직이는 것을 보기 전에 최근 말이 활동한 것이 무엇인지 알려고 할 것이다. 멀리서 그리고 가까이서 발을 보고 만져보는데 대개 발, 발굽, 발바닥 그리고 발꿈치를 발굽테스터로 압력을 눌러 자세히 본다. 그리고 평보,속보로 직선과 원으로 걸리면서 파행의 증상을 본다.
플렉션flexion으로 구부렸다 펴서 부분적인 압력으로 파행이 더 심해지는지 보기도 하는데 때로는 국부마취로 다리 일부분에 주사하여 정확한 이유를 찾기도 한다. 다음, 엑스레이나 초음파, CT 또든 MRI까지 동원해서 파행의 원인을 찾을 수도 있다.
여기 다섯가지 파행의 요인이 있다.
발의 종양
발굽화농증Subsolar abscesses, 발바닥 아래 국소적인 염증이 가장 흔한 요인이다. 농양이 생기면서 발의 예민한 구조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주상골 신드롬Navicular Syndrome
주상골은 카누 모양의 작은 뼈인데 발굽의 뒤편에 있다. 발굼치 통증과 주상골 질병의 병리를 묘사하는 단어다. .
발꿈치 통증
발꿈치 통증은 주상골신드롬의 요소인자이며 발굽에는 통증(에: suspensory ligament of the navicular bone, the impar ligament that connects the navicular bone to the back of the coffin bone, and other collateral ligaments) 을 일으키는 여러가지 구조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퇴행성 관절병 Degenerative Joint Disease
나이든 말에게 흔하나 간혹 나이가 그다지 많지 않은 말들에게도 일어난다. 지나친 마모가 자체 보수과정을 과부하 시킬 수 있다.
건과 인대 부상
다리 하부에는 몇가지 중요한 건과 인대가 있으며superficial digital flexor tendon, the deep digital flexor tendon, and the suspensory ligament 이것들은 부상을 당하기 쉽다.
왜 말에게 파행이 일어나는지 모두 열거 할 수 없지만 몇가지 가장 흔한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유용하다. 이런 부상과 질병이 나타나는지 이해하면 문제를 금방 알아낼 수 있고 적절한 치료를 빨리 하게 되어 더 빠른 시일내 기승할 수 있게 된다.
파행정도
0단계: 정상
1단계: 파행을 알기 어렵고 아픈 것 같다 그렇지 않기도 하다.
2단계: 직선으로 속보를 할 때나 걸을 때는 잘 모르나 특정한 상황에서 알 수 있다.
3단계: 어떤 상황에서도 속보시 꾸준하게 보인다.
4단계: 평보에서도 파행이 보인다.
5단계: 움직이거나 쉴 때에 발에 체중을 실으려고 하지 않거나, 또는 전혀 걸을 수 없다.
JOAN NORTON, VMD, DACVIM, is the founder of Norton Veterinary Consulting and Education Resources, a firm dedicated to the education of horsemen and equine veterinarians through internal medicine consultations, lectures, webinars and writing. More information on her services and courses can be found atwww.nortonveterinaryconsulting.com.
http://www.horsechannel.com/horse-health/the-top-5-causes-of-equine-lameness.aspx
'FYI·정보 > For horses·돌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초 물에 담궈주기 (0) | 2015.07.21 |
---|---|
여름철 말 건강관리 (0) | 2015.07.12 |
여름철 물을 더 마시게 하기 (0) | 2015.06.26 |
무한증 (0) | 2015.06.24 |
목욕시키기 (0) | 2015.06.23 |